Kali Linux 기초 Part. 7 Kali Linux의 File System

2025. 3. 18. 13:15보안/Linux

Kali Linux 기초 가이드는 normaltic 강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 리눅스 파일 시스템 이란?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조를 의미함.

파일과 디렉토리는 계층 구조(Tree Structure)를 가짐.

 

 

이렇게 리눅스에서는 / 라는 최상위 디렉토리 안에 여러가지 디렉토리가 존재한다. 모양을 보면 트리처럼 되어있는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디렉토리의 용도를 알아보자!

 

🔹 각 디렉토리의 역할

디렉토리 설명
/ 최상위 디렉토리
/bin binary의 약자, 실행 파일을 뜻함, 기본 명령어들이 저장 되어있음.
/boot 부팅 관련 파일 (kernel, grub 설정)
/dev device의 약자, 하드웨어의 장치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하드디스크, USB,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
/etc 시스템 설정 파일 (passwd, shadow, hosts)
/home 일반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 (/home/user)
/lib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 (.so 파일)
/media 자동 마운트된 미디어 (CD, USB)
/mnt 외부 장치 마운트 지점
/opt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 저장소
/proc 가상 파일 시스템 (커널 & 프로세스 정보)
/root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home/root 아님!)
/sbin 시스템 관리 명령어 (shutdown, fdisk, ifconfig)
/srv 서비스 데이터 (웹 서버, FTP 등)
/tmp 임시 파일 저장 공간
/usr 사용자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저장 (/usr/bin, /usr/lib)
/var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의 데이터를 저장, 로그, 캐시, 이메일등을 저장 (/var/log, /var/tmp)

 

2.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주요 특징

  1. 계층적 구조 (Hierarchical Structure)
    • 모든 파일은 / (최상위 디렉토리) 아래에서 시작됨.
    • 디렉토리는 폴더 역할을 하며,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 됨.
  2. 파일 권한 시스템 (rwx)
    • 파일과 디렉토리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다름.
    • 지난 시간에 배웠던 ls -l 명령어를 통해 파일 권한을 확인 할 수 있음.

 

 

이 정도 확인 해봤는데, 주의할 점은 이 내용이 절대적이지는 않는다. 실행 파일 이니까 무조건 /bin 디렉토리, /sbin 디렉토리에 있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실행 파일을 /root 디렉토리에 넣고 사용 할 수도 있기 때문.

 

이번 시간에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