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
Kali Linux 기초 Part. 11 파일 확인 (cat, more)
Kali Linux 기초 가이드는 normaltic 강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이전에 vi를 통해 편집하고 저장하는 것 까지 해봤습니다.이번에는 vi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Cat먼저 cat이라는 명령어를 써볼건데요, cat은 concatenate의 약자입니다. 해석 하자면 연결하다라는 뜻인데, 뒤에 전달 인자로 오는 파일 데이터를 연결하는데 사용합니다. cat 명령어의 이런 특징을 이용해서 전달 인자에 파일을 넣어 주면 그 파일 데이터가 화면에 나오게 됩니다.그럼 한번 저번 시간에 만들었던 test 파일을 불러보겠습니다.먼저 ls로 위치를 확인 한 후, cat으로 불러 와보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저번 시간에 만들었던 파일이 불러와 지는 것..
2025.03.18 -
Kali Linux 기초 Part. 10 Vi Text Editor
Kali Linux 기초 가이드는 normaltic 강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 Vi Text Editor란?리눅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텍스트 편집기다.서버 환경이나 터미널에서 GUI없이 파일을 수정할 때 필수적인 도구이며, 모든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된다.Windows에 기본적으로 있는 메모장! 이게 바로 Windows의 Text Editor라고 할 수 있다. 2. Vi의 특징터미널 기반 텍스트 에디터 (GUI 없이 사용 가능)모든 리눅스 배포판에 기본 포함강력한 단축키 기반 편집기능다양한 모드 (명령 모드, 입력 모드) 제공 Vi를 한번 실행 해보자.Vi vi가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다.이제 글작성을 한번 해보자면, 글작성이 안될 것이다.vi 에는 크게 2가지 모드가 있다. 바..
2025.03.18 -
Kali Linux 기초 Part. 9 TAB 키의 역할 (자동 완성)
Kali Linux 기초 가이드는 normaltic 강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 TAB키는 명령어 입력을 도와주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함.주로 자동 완성 기능과 명렁어 히스토리 탐색에 사용된다. TAB 키의 주요 기능파일 & 디렉토리 자동 완성명령어 자동 완성패키지, 프로세스, 사용자 이름 자동 완성명령어 옵션 및 인자 자동 완성TAB 키의 활용 방법파일 & 디렉토리 자동 완성리눅스 터미널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 이름을 입력할 때, TAB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된다.명령어 자동 완성명령어를 입력할 때, TAB을 사용하면 명령어의 전체 이름을 자동 완성 할 수 있다.명령어 옵션 자동 완성명령어 뒤에 -를 입력한 상태에서 TAB키를 누르면 사용 가능한 옵션 목록이 나온다.패키지, 프로세스,..
2025.03.18 -
Kali Linux 기초 Part. 8 절대 경로 VS 상대 경로
cd /root/Desktop # 루트부터 시작하는 경로ls /root/Desktop # 데스크탑 파일 확인rm /root/Desktop/test.txt # 데스크탑에 있는 text.txt파일 삭제Kali Linux 기초 가이드는 normaltic 강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찾거나 이동할 때 경로(Path)를 사용한다.경로에는 절대 경로 (Absolute Path)와 상대 경로 (Relative Path) 두 가지 방식이 있다. 1. 절대 경로 (Absolute Path)란?절대 경로는 최상위 디렉토리 (/) 부터 시작하는 경로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지정하는 방식 이다.이 방식은어디서든 동일한 경로로 접근할 수 있다. 절대 경로의 특징항상 / 부터 시작어..
2025.03.18 -
Kali Linux 기초 Part. 7 Kali Linux의 File System
Kali Linux 기초 가이드는 normaltic 강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 리눅스 파일 시스템 이란?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조를 의미함.파일과 디렉토리는 계층 구조(Tree Structure)를 가짐. 이렇게 리눅스에서는 / 라는 최상위 디렉토리 안에 여러가지 디렉토리가 존재한다. 모양을 보면 트리처럼 되어있는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디렉토리의 용도를 알아보자! 🔹 각 디렉토리의 역할디렉토리설명/최상위 디렉토리/binbinary의 약자, 실행 파일을 뜻함, 기본 명령어들이 저장 되어있음./boot부팅 관련 파일 (kernel, grub 설정)/devdevice의 약자, 하드웨어의 장치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하드디스크, USB,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
2025.03.18 -
Kali Linux 기초 Part. 6 파일 정보 확인
Kali Linux 기초 가이드는 normaltic 강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 파일 정보 확인지금 까지 디렉토리 이동을 알아 봤다. 이제 파일 정보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다. 예를들어 Windows 에서는 test1이라는 폴더가 있는데 이 폴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냥 오른쪽 클릭 후 속성을 누르면 된다. 눌러보면, 폴더의 종류, 위치, 크기, 디스크 할당 크기, 내용, 만든 날짜등 GUI로 간편하게 알 수 있다. 이걸 리눅스에서 하기 위해서는 먼저 ls 명령어를 통해서 정보를 확인 할 수있다. 한번 해보자! 보면 현재 홈 디렉토리안에 있는 폴더들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어떤게 디렉토리고 어떤게 파일인지 알 수 없다. 사실, 글씨색, 굵기 등으로 표시를 해주기는 하지만, 정확..
2025.03.18